본문 바로가기

야구상식

야구용어 WAR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두목곰아재입니다. 올해의 프로야구도 이제 끝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SSG가 부동의 1위입니다. 정기 페넌트레이스까지도 1위를 할 것 같습니다. 두산 베어는 역대 최악의 순위로 마감을 할 것 같습니다. 믿을 수 없는 순위이지만 현실을 인정해야 될 것 같습니다. 올가 을야 구는 엘지를 응원하는 걸로 해야겠습니다.

 

오늘은 야구 용어 중 WAR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WAR 개요

Wins Above Replacement(대체 수준 대비 승리 기여)의 약어입니다. 야구의 세이버메트릭스 기록의 하나로, 선수가 팀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성격의 스탯입니다. 오늘날 야구에서는 가장 각광받는 스탯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지 표의 값은 곧 승수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한국어로 읽을 때는 nWAR라는 점수는 n승이라고 읽으시면 적절합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대체선수에 비해 몇 승을 더 기여했는지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WAR 설명

WAR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할 대체 선수란 절대 팀 내의 그 포지션의 후보 선수를 의미하는 게 아닙니니다. 일반적인, 가상의 대체 선수 수준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대체 수준의 선수와 비교함으로써, WAR을 구하고자 하는 선수 가득 점과 실점 억제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구하고, 이를 승수로 바꿔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면 WAR가 산출이 됩니다.

덕분에 매우 직관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유격수 자리에 WAR이 0인, 즉 대체 수준의 선수를 썼던 팀이 87승을 했다고 할 때, 이 선수 대신 WAR 3인 선수를 썼다면 90승을 했을 것이란 식입니다. 팬그래프스의 따르면 2017년 기준 FA 1 WAR 당 가격은 1050만 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타격, 주루, 피칭, 수비 각각의 요소를 모두 계산해 종합한 스탯이 기에 계산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접근법이 복잡하지만, 선수의 가치를 표현하는 궁극적인 방법이란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는 스탯입니다.
처음부터 이 기록은 서로 다른 환경과 포지션 상황에 놓인 선수를 한 줄로 놓고 비교하기 위해 계산은 복잡하지만 결과로 줄 세우는 건 심플한 스탯으로 만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WAR이 2~3 정도 되면, 어느 팀에서도 주전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경쟁력이 있는 선수로 보는데, 이는 메이저리그 경기수를 기준으로 한식 계산법입니다.

WAR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이저리그가 162경기 기준으로 전술한 대체 선수로 이루어진 팀은 1년에 45~50승 중간값 48승을 올리는 것으로 계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5 할의 승률이 되는 81승을 채우려면 기준인 48승에서 선수들이 추가해야 할 승수, 즉WAR합계는대략 30~35, 기준점으로는 33쯤 됩니다.


25인 로스터로 운영되는 메이저리그 팀의 투타 분담은 일반적으로 확실한 주전으로 부를 만한 선수가 야수 7~8명에 선발투수 4~5명, 마무리 투수+필승조 셋업맨 2명 내외를 다 합한 15~17명, 중간값 16명 정도이며 이들이 팀 전체 타석과 수비 출장, 투수 이닝의 90% 이상을 책임집니다.


따라서 식으로 전술한 81승을 위한 WAR 합계 33을 주전 선수 16명으로 나누면 33÷16=2.xx로 대략 2 WAR 스케일이 나옵니다. 주전 1명당 2 정도는 기록해야 목표 WAR 33을 채울 수 있습니다. 2~3의 WAR스케일을 가진 플레이어가 어느 팀에서나 주전 경쟁이 가능한 SolidStarter로 불리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MLB에서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기 위한 최소한의 승수를 대충 90승 정도로 잡는데, 팀에 15~17명의 Solid Player를 보유하더라도 약 10 정도의 WAR스케일이 더 필요한 것입니다. 2016 시즌103승을 거두며 MLB 전체 승률 1위를달성한시카고컵스의경우, 투타에서 WAR상위 10 걸을 차지한 선수들의 WAR합계는 fWAR, bWAR모두 55 내외였습니다.


시카고 컵스의 103승에서 대체선수로 이루어진 팀의 일반적인 승수로 계산되는 48을 빼면 공교롭게도 딱 55 가나 옵니다. 그만큼 팀의 성적을 가늠하는데 정확도가 괜찮은 지표입니다.

WAR은 정해진 표준이란 게 없는 비표준화 스탯으로, 타격, 주루, 수비, 피칭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 비교 대상이 되는 대체 수준 설정에 따라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가질 수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자동차와 같습니다. 차를 구성하는 각 요소마다의 차이로 수많은 자동차의 갈래가 생겨나듯 WAR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때문에 WAR을 언급할 때는 어떤 WAR인지 명확히 지칭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동차의 특정 모델이 가지는 특성을 자동차에 대한 보편적 특성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2019년 현재 이미 모든 구단은 WAR를 활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자신들 고유의 WAR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운용하는 WAR는 pWAR라고 부르고, 워싱턴 내셔널스가 운용하는 WAR는 펜타곤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펜타곤의 보안 수준은 펜타곤에 준한다고 합니다.


다들 자신들의 WAR계산방법은 비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는 계산방법이라는 주제조차도 언급하는것을꺼리고있습니다.

 

KBO의 WAR

KBO는 MLB만큼 자세하고 오랫동안 누적된 Play-by-Play 데이터가 없어서 fWAR나 bWAR 만큼 자세한 WAR를 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입니다. Statiz와 KBReport 간의 WAR를 비교하면 조금 차이가 있는데, 편의를 위해 Statiz의 WAR는 sWAR, KBReport의 WAR은 kWAR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이중 KBReport는 투수에 한해 kWAR와 RA9-WAR를 따로 계산을 했습니다. 야수의 kWAR는 수비율과 파크 팩트는 계산하지 않고 야수의 공격력에 주루 기여도, MLB의 포지션 조정 상수에 출장 이닝에 비례해서 계산했고, RA9-WAR는 FIP대신 RA/9(평균 실점)을 대입해서 계산했습니다.


sWAR의 산출방법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수비율과 파크 팩터까지는 계산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